전체 글
백준 1707번 자바
1.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707 1707번: 이분 그래프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K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그래프의 정점의 개수 V와 간선의 개수 E가 빈 칸을 사이에 www.acmicpc.net 2. 접근방식 트리 형태의 그래프인 경우 항상 이분 그래프가 된다. -> 이게 핵심이다. 즉 트리 형태가 아닌 그래프, 다시 말해서 순환형태의 그래프인 경우 이분그래프가 아니게 된다. 예를 들어 1 -> 2-> 3-> 1 형태의 그래프인 경우 1이 속한 집합이 A라고 가정할 때 2는 B -> 3은 A -> 1은 A가 되고 1과 3의 집합이 같기 때문에 이분그래프가 될 수 없다. 3. 구..

TIL - 0308
1. 알고리즘 미학습 2. 운영체제(공룡책) *챕터1 1.2.3 입출력 구조(I/O Structure) 인터럽트 구동 시 대용량 데이터의 이동은 오버헤드를 야기 시킬 수 있기 때문에 DMA가 사용된다. DMA(Direct Memory Access) : 직접 메모리 접근. 즉, 특정 하드웨어 하위 시스템이 CPU와 독립적으로 메인 메모리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컴퓨터 시스템의 기능 이로 인해 장치 컨트롤러가 전송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동안 CPU는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1.3 컴퓨터 시스템 구조 처리기(Processor) : 연산 수행. CPU 1.3.1 단일 처리기 시스템(Single-Processor Systems) 하나의 CPU로 작업을 처리 전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 다른 특수 목적 프로..

TIL - 0307
1. 알고리즘 소프티어 정기역량 진단 첫번째 문제는 그래프 관련 문제다. 다만 간선이 양방향인 곳과 단방향인 곳이 존재하고 시간초과를 조심해야했다. 결국 맞추지는 못했다. 평소에 한번이라도 풀어봤던 유형이라면 기억이 날텐데 전혀 안난게 아무래도 관련 유형을 풀어 본적이 없던 것 같은 느낌.. 또 평소에 잘 안다고 생각했던 부분들도 인터넷 검색, 외부 IDE가 제한되니 어느 부분이 약한지 확실하게 알게 됐다.(배열의 복사 뿐아니라 List류의 얕은,깊은 복사, stream으로 배열 구현 등) 두번째 문제는 15분정도만에 해결한듯하다. 접근 방식도 금방 캐치하고 구현 자체도 어렵지 않아 쉽게 풀었다. 그간 비주류 분야의 알고리즘 문제들을 많이 풀다보니 정작 자주 출제되는 그래프, DP등의 문제 풀이에 소홀 ..
TIL - 0306
1. 알고리즘 백준 1325번 https://ahlight.tistory.com/123 백준 1325번 자바 1.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325 ahlight.tistory.com 2. 운영체제(공룡책) *챕터1 1.1 운영체제가 할 일 1.1.1 사용자 관점(user_view) 컴퓨터 시스템 - 하드웨어, 운영체제, 응용프로그램, 사용자로 구분 가능 사용의 용이성을 위해 설계(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간 자원의 이용성은 고려하지 않음) 1.1.2 시스템 관점(System_view) 컴퓨터 시스템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데이터로 구분 가능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자원을 관리하고 할당하는 자원 할당자(resource allocator) 응용프로그램(사용자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