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네트워크
HTTP
1. HTTP/1.0 한 연결당 하나의 요청을 처리하도록 설계 RTT 증가(RTT : 패킷 왕복시간) 이미지 스플리팅, 코드압축, 이미지 Base64 인코딩을 통해 해결 이미지 스플리팅 많은 이미지가 합쳐있는 하나의 이미지 다운로드 후 이를 기반으로 background-image의 position을 이용해 이미지를 표기( 많은 이미지 다운로드시 과부하가 발생) 코드 압축 개행문자, 빈칸을 없애 코드크기를 최소화 이미지 Base64 인코딩 이미지 파일을 64진법으로 이루어진 문자열로 인코딩하는 방법(37%정도 크기가 더 커진다.) * 인코딩 : 정보의 형태나 형식을 표준화, 보안, 처리속도 향상, 저장공간 절약등을 위해 다른 형태나 형식으로 변환 2. HTTP/1.1 HTTP/1.0과는 달리 매번 TCP연..
네트워크 기기
1. 처리 범위 계층별 처리 기기가 존재 상위 계층 기기는 하위 계층을 처리 할 수 있으나, 반대는 불가능 2. 애플리케이션 계층 처리 기기 L7스위치 스위치란 여러장비를 연결 및 데이터 통신을 중재하며 목적지가 연결된 포트로만 전기 신호를 보내 데이터를 전송 로드밸런서라고도 불린다. 서버의 부하를 분산하고, 클라이언트 측 요청을 뒷단의 여러 서버로 나누는 역할을 하며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트래픽 증가를 목표로한다. IP, 포트, URL, 서버, 캐시, 쿠키들을 기반으로 트래픽을 분산한다. 필터링기능 존재, 응용프로그램 수준의 트래픽 모니터링 가능 AWS(L7 : ALB컴포넌트, L4 : NLB컴포넌트) 헬스체크 : 전송주기, 재전송 횟수 등을 설정한 이후 반복적으로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것(정상,비정..

TCP/IP 4계층 모델
1. OSI 7계층과 TCP/IP 4계층 모델의 차이 OSI는 공식, TCP/IP는 비공식(예전에 들은것같은데 어디서 봤는지 기억이 가물하다..동빈나였나..) TCP/IP 계층 방식이 현실적으로 자주 사용된다. https://marades.tistory.com/15 OSI 7계층과 TCP/IP 4계층 OSI 7계층 OSI 7계층이란? Open Systems Interconnecrtoin 의 약자로서, ISO(국제표준화기구)에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눠 설명한 모델 네트워크 구성 요소를 표준화 → 시 marades.tistory.com 실질적인 차이는 위 사이트를 참고하는게 좋다. 2. TCP/IP 4계층 모델의 개념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internet protocol s..
네트워크 기초
- 네트워크 : 노드(node)와 링크(link)가 서로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지않은 집합체,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는 통신망 - 처리량(throughput) : 단위시간 당 데이터양(bps) - 대역폭 : 주어진 시간동안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흐를 수 있는 최대 비트 수 - 지연시간 : 요청이 처리되는 시간(어떤 메시지가 두 장치사이를 왕복하는데 걸린 시간) - 네트워크 토폴로지(network topology) : 노드와 링크가 어떻게 배치 되어 있는지에 대한 방식, 연결형태, 병목현상 해결 시 중요 기준이 된다. 트리 토폴로지 - 계층형 토폴로지, 나무형태 배치 - 노드의 추가 삭제 용이, 특정 노드 트래픽 집중 시 하위 노드 에 영향 버스 토폴로지(버스형) - LAN에서 사용, 중앙 통신회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