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알고리즘
2. 운영체제(공룡책)
*챕터4 - 스레드와 병행성 (Threads & Concurrency)
4.6 스레드와 관련된 문제들_Threading Issues
- Fork() 및 Exec() 시스템 콜 - https://woochan-autobiography.tistory.com/207(fork() vs exec())
- 신호 처리(Signal Handling) - 동기식 vs 비동기식
- 스레드 취소(Thread Cancellation) - 비동기식 취소 vs 지연 취소
- 스레드-로컬 저장장치(Thread-Local Storage-TLS) - 스레드 자신만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고유)
- 스케줄러 액티베이션(Scheduler Activations) - 경량프로세스(LWP)를 활용 해 사용자-커널 레벨 스레드간의 사이를 절충
3.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 Part 7
Section 13~14
스태틱 라우팅 프로토콜 vs 다이내믹 라우팅 프로토콜
스태틱 -> pc방을 생각하면 쉽다.
4. 스프링 핵심원리 기본편 - 김영한
Chapter 9 빈 생명주기 콜백
- 싱글톤 빈과 프로토타입 빈을 함께 사용할 때 문제점
- 프로토타입은 조회 할 때 마다 생성되는 반면에 싱글톤은 컨테이너가 생성되면서 등록되는 것이 계속 유지
- 싱글톤 빈이 프로토타입 빈을 의존관계 주입 받게 되면 최초 생성 후 같은 프로토 타입 빈이 유지가 된다.
- 즉, 싱글톤 빈의 범위가 프토토 타입 빈의 범위를 포함하게 된다.
- 그렇기 때문에 원래 의도대로 프로토 타입을 사용하는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 0509 (0) | 2023.05.09 |
---|---|
TIL - 0508 (0) | 2023.05.08 |
TIL - 0503 (0) | 2023.05.03 |
TIL - 0502 (0) | 2023.05.02 |
TIL - 0501 (0) | 2023.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