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알고리즘
- 백준 1948번
- https://ahlight.tistory.com/150
백준 1948번 자바
1.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948 1948번: 임계경로 첫째 줄에 도시의 개수 n(1 ≤ n ≤ 10,000)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도로의 개수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그리고 셋째 줄부터 m+2줄까지 다
ahlight.tistory.com
2. 운영체제(공룡책)
*챕터2 - 운영체제 구조 (Operating System Structures)
2.10.2 성능 관찰 및 조정(Performance Monitoring and Tuning)
시스템의 병목지점을 개선하기 위해 시스템 성능을 감시할 수 있는 Counters, Tracing 두 가지의 도구가 있다.
2.10.2.1 카운터(Counters)
OS는 카운터를 통해 시스템 콜 호출 횟수, 각종 장치에서 수행된 작업의 수와 같은 활동을 추적한다. Linux의 경우 /proc 이라는 가상 파일 시스템에서 통계를 확인한다. proc파일 시스템은 커널에서 내부 데이터 구조체에 대한 인터페이스처럼 행동하며 런타임시에 특정한 커널 파라미터를 바꾸고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얻는데 사용될 수 있다. Windows의 경우 작업관리자를 통해 자원들의 통계를 보여준다.
2.10.2.2 추적 (Tracing)
카운터가 특정한 통계의 현재 값에 대해 간단히 확인하는 반면에 추적은 시스템 콜과 관련된 단계와 같은 특정 이벤트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2.10.4 BCC(BPF Compiler Collection)
BCC의 도구 집합은 디버깅의 이상적인 측면을 해소해준다. BCC는 BPF를 이해하는데서 시작한다. BPF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필터링하기 위해 오래전에 개발된 기술이다. 현재는 확장된 BPF - extended BPF로 업그레이드 되었으며 커널의 여러 부분에서 어떤 이베튼가 발생하는지 관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이벤트를 캡처하거나 시스템 성능(디스크 I/O 수행시간) 등을 분석하는 것들이 있다. BCC는 eBPF의 도구 집합을 간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Python으로 작성된 Front-End interface를 제공한다.
BCC의 가장 큰 장점은 시스템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실제 프로덕션 시스템에서 이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3.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 Part 6
Section 11~12
카타리스트 스위치
-> 특정 회사의 제품 상세 설명이기에 공통적으로 중요한 개념들만 추려보자
Duplex 통신 방식
- auto : 상대 장비의 Duplex상태에 따라 자신의 상태 결정
- Half Duplex : 한번에 한쪽에서만 송신 -> 무전기
- Full Duplext : 양쪽에서 송신 가능 -> 전화기
PoE(Power over Ethernet) : 이더넷통신할 때 데이터뿐만 아니라 전력(전원)도 같이 공급
스위치의 IP주소 세팅 이유 : 굳이 안해도 상관없으나 IP주소를 부여해 관리를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세팅. 각 인터페이스 마다 부여하는 라우터와는 다르게 하나만 부여
4. 스프링 핵심원리 기본편 - 김영한
Chapter 1 객체 지향 설계와 스프링
- 모든 설계에 인터페이스를 부여하는게 이상적이나 상황에 따라 조정
Chapter 2 예제 만들기
-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따라 도메인 분리 -> 의존관계를 명확하게 분리해 mvc패턴으로
- 역할과 구현을 구분 -> 추후 변경 용이성을 위해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 0403 (0) | 2023.04.03 |
---|---|
TIL - 0331 (0) | 2023.03.31 |
TIL - 0329 (0) | 2023.03.29 |
TIL - 0328 (0) | 2023.03.28 |
TIL - 0325 (0) | 2023.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