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알고리즘
- 미학습
2. 운영체제(공룡책)
*챕터2 - 운영체제 구조 (Operating System Structures)
2.3.3 시스템 콜의 유형(Types of System Calls)
시스템 콜은 다섯 가지의 중요한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 프로세스 제어(Process Control)
- 파일 조작(File Manipulation)
- 장치 조작(Device Management)
- 정보 유지보수(Information Maintenance)
- 통신과 보호(Communication and Protection)
2.3.3.1 프로세스 제어
실행 중인 프로그램(프로세스)은 수행을 정상적으로(end()) 또는 비정상적으로(abort()) 멈출 수 있어야 한다.
우리가 새로운 잡이나 프로세스, 혹은 잡들이나 프로세스들의 집합을 생성한다면, 우리는 그들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제어는 잡의 우선순위, 최대 허용 실행 시간등을 포함하여 잡 혹은 프로세스의 속성들을 결정하고 재설정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공유되는 데이터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운영체제는 종종 프로세스가 공유 데이터를 잠글 수(lock) 있는 시스템 콜을 제공한다.
2.3.3.2 파일 관리
파일을 생성(create())하고 삭제(delete())할 수 있어야 한다. 파일 시스템이 파일을 조직하기 위해 디렉터리 구조를 가진다면 디렉토리에 대해서도 이와 같은 연산 집합이 필요하다. 파일, 디렉토리에 대해 여러 속성의 값을 결정하고, 필요하다면 그것을 재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3.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 Part5
Section 7
서브넷 마스크는 그 주소를 나누지 않더라도 항상 그 옆에 붙어있다. 즉, 디폴트 서브넷 마스크가 있다.
서브넷 마스크가 이진수로 1인 부분은 네트워크 부분, 0인 부분이 호스트가 된다.
150.150.100.1의 IP주소(B클래스)에
255.255.255.0의 서브넷 마스크를 씌우면
150.150.100.0의 주소로 변환되고 이는 B클래스 주소를 마치 C클래스 주소처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네트워크 부분이 3자리로 바뀌고 호스트 자리가 1자리로 줄게 됐다.
서브넷 마스킹은 기존 IP주소의 호스트 부분의 일부를 네트워크 부분으로 바꾸는 작업이다.
Section 8
서브넷 마스크로 만들어진 네트워크, 즉 서브넷은 하나의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라우터를 통해서만 상호 통신이 가능하다. 즉, 서로 다른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가지게 된 것이다.
서브넷 마스크는 이진수로 썼을 때 1이 연속적으로 나와야 한다.
4. 김영한의 Spring 로드맵
- H2 DB설치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 0322 (0) | 2023.03.22 |
---|---|
TIL - 0321 (0) | 2023.03.21 |
TIL - 0318 (0) | 2023.03.18 |
TIL - 0317 (0) | 2023.03.17 |
TIL - 0316 (0) | 2023.03.16 |